간판을 제작·설치 하려고 하지만 간판의 용어가 생소하여 간판 자체가 어렵고 부담되는 소비자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마련된, 하지만 간판 현업 전문가도 보고 배우는, 더 이상의 지식과 검색이 필요 없는 간판용어 끝장 시리즈 ‘벽면이용간판’ 포스팅입니다.
간판용어 시리즈의 내용만 알아도 당신은 간판 전문가 이상입니다.

벽면이용간판
벽면이용간판의 법률상 정의

-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디지털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설치하여 건물·시설물·점포·영업소 등의 벽면, 유리벽의 바깥쪽, 옥상난간 등에 길게 붙이거나 표시하는 것
- 문자·도형 등을 도료, 색상이 표시된 천·종이·비닐·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건물·시설물·점포·영업소 등의 벽면, 유리벽의 바깥쪽, 옥상난간 등에 길게 표시하는 것
- 주유소 또는 가스충전소의 주유기 또는 충전기시설의 차양면(遮陽面)에 상호·정유사 등의 명칭을 표시하거나 상호를 매다는 방식으로 표시하는 광고물
- 옥외광고물과 벽면이용간판 관련 법률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문가의 알기 쉬운 설명 – 벽면이용간판
길거리에서 우리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간판으로는 ‘벽면이용간판’과 ‘돌출간판’이 있습니다.
벽면이용간판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건물의 벽면에 착 붙여 설치되는 간판입니다. 설치 시 벽면을 이용하는데 간판의 후면/배면이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간판입니다. 즉 간판의 등을 건물의 벽면에 부착시켜 벽면과 평행하게 설치됩니다. 돌출간판은 보통 건물의 중앙 벽면이 아닌 모서리 벽면에 설치됩니다. 돌출간판은 자신의 옆구리를 건물의 모서리 벽면에 부착시켜 설치되어 간판의 얼굴/화면이 벽면과 직각을 이루게 되고 그 만큼 건물에서 돌출됩니다.
벽면이용간판은 간판의 배면/후면을 벽에 평행하게 고정하는 간판
등을 벽에 대고 하나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벽면이용간판
옆구리를 벽에 대고 아수라백작 같이 앞/뒤로 두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돌출간판입니다.
(아수라백작을 아세요? ^^; 모르셔도 아무 상관없습니다. 옛날 만화에 나오던 그냥 얼굴이 두개인 백작이랍니다.)
보통의 경우, 벽면이용간판은 가로형, 돌출간판은 세로형으로 제작 설치됩니다.
가로형 한 얼굴 벽면이용간판, 세로형 두 얼굴 돌출간판
전문가가 알려주는 – ‘불법 간판’ 벌금과 철거에 대한 대처 방법
– 알아보기
벽면이용간판의 분류
일단, 벽면이용간판은 해당 법률에서 정의한 용어입니다. 이 벽면이용간판은 설치방법, 형태, 특성과 속성, 재료 및 재질에 따라 여러가지 간판으로 분류됩니다. 여기서 소비자들의 현타가 발생하고 머리가 아프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두세가지만 더 알면 됩니다. 우리가 커피를 마시고자 카페에 들어가도 빵을 사고자 제과점에 들어가도 메뉴판에 여러 분류가 펼쳐지는 것과 같습니다. 식빵을 사러 가도 밤식빵, 초코식빵, 우유식빵, 곡물식빵, 블루베리식빵, … 갑자기 식빵이 땅기네요. 식빵과 함께 커피를 마시려 해도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카페라떼, … 아메리카노도 마일드, 룽고, 룽고 디카페인, 룽고 인텐소, … 뭐가 뭔지 어렵고 머리가 아파오죠. 참고로 저는 식빵과 커피를 함께 즐기지 않습니다. ^^;
꼭 문명과 동떨어진 아프리카 원주민이 아니더라도 이 십년 전의 우리가 현재의 스타벅스에 왔더라도 머리가 아프고 울렁증이 생겨 식빵도 커피도 못사먹을 듯하지요. 하지만 현재 우리는 익숙해져 더 다양하고 입맛에 맞는 디저트를 즐기듯이 간판도 본질적으로 어렵기 보다는 익숙하지 않아 머리가 아파오고 어렵지요. 하지만 조금만 더 알면 됩니다. 간판 자체가 어려워 알기 힘든 것은 아닙니다.
옥외광고물, 간판 중 벽면이용간판은 예를 들자면 여러 식당 중 카페에 해당됩니다. 벽면이용간판은 크게 판류형과 입체형,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두가지 분류는 마치 오늘 카페에서 먹을 메뉴 중 빵과 커피로 분류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카페에서 ‘빵 하나, 커피 하나 주세요!’로 주문할 수 없죠. ^^ 그렇듯이 빵과 커피는 큰 분류입니다. 판류형 간판에도 여러 종류의 간판이, 입체형 간판에도 여러 종류의 간판이 있습니다. 빵과 커피에 여러 종류가 있는 것 처럼 …

위 사진은 입체형 벽면이용간판과 판류형 벽면이용간판의 개념도입니다. 예시로 명시된 규격정보는 각 지자체 마다 상이합니다. 따라서 실제 소재지 별 지자체에서 이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입체형 벽면이용간판
입체형 벽면이용간판은 간판의 내용으로 문자와 기호 만이 표기되고 그 외 배경이 없다. 이때 문자와 기호가 입체적으로 제작되는 간판입니다. 입체적으로 제작된 문자나 기호를 간판 업계 현장에서는 ‘채널(Channel)’이라고 부르며 이렇게 제작된 간판을 통상 채널간판이라 합니다. 따라서 입체형 벽면이용간판을 입체형 문자 간판, 입체형 채널 간판 혹은 현장에서는 간단히 ‘채널간판‘이라고도 부릅니다.
(추후 채널간판에 대해 별도의 포스팅 예정 입니다.)
간판이름 = 소재의 종류 + 채널간판
위 채널은 플라스틱 수지, 아크릴, 알루미늄, 갈바(철재),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는데 통상적으로 소재의 종류를 채널간판 앞에 붙여 부른다.(간판이름 = 소재의 종류 + 채널간판) 즉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채널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간판은 알루미늄 채널간판이라 부르며 이는 입체형 벽면이용간판의 한 종류 입니다.
입체형 벽면이용간판의 예시


판류형 벽면이용간판
판류형 벽면이용간판은 간판의 내용으로 문자와 기호 외에 배경도 간판으로 제작됩니다. 따라서 입체형 간판이 대부분 문자와 기호 만을 표기하기 때문에 비정형화된 모양이라면 판류형 벽면이용간판은 가로가 길쭉한 직사각형 화면을 갖는 정형화된 형태입니다. 직사각형 간판 화면 속에는 문자와 기호뿐만 아니라 배경이 구현됩니다.
대표적인 판류형 벽면이용간판으로는 플렉스(Flex)간판이 있습니다. 후렉스간판이라고도 부르는데 Flex라는 비닐 소재에 원하는 문자와 기호 그리고 배경을 Flex 비닐 소재에 출력하고 내부에 조명용 광원(LED 혹은 형광등)을 포함시켜 제작되는 형태입니다. 입체형 벽면이용간판 처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됩니다.
판류형 벽면이용간판의 예시
![간판용어 - 벽면이용간판 6 [ 판류형 - 벽면이용간판 1 ]](https://krsign.kr/wp-content/uploads/2023/10/판류형-벽면이용간판1.webp)
![간판용어 - 벽면이용간판 7 [ 판류형 - 벽면이용간판 2 ]](https://krsign.kr/wp-content/uploads/2023/10/판류형-벽면이용간판3.webp)
간판 지침서(가이드) – 자주하는 질문 (FAQ)
– 알아보기
판류형 + 입체형 벽면이용간판
‘판류형 + 입체형 간판’, 하이브리드 같은 이 간판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통영되는 간판 명칭은 아닙니다. 하지만 꽤 자주 이용되는 간판 제작방식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판류형 간판 위에 문자나 기호를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즉, 채널로 만들어 제작하는 간판입니다. 판류형에 입체형 간판을 합체한 간판입니다.
판류형 + 입체형 벽면이용간판의 예시
![간판용어 - 벽면이용간판 8 [ '판류형+입체형' 벽면이용간판 ]](https://krsign.kr/wp-content/uploads/2023/10/합체형.webp)
위 예시의 대지안경 간판은 흰색 직사각형 판류형 간판에 문자와 기호가 입체형으로 제작된 벽면이용간판입니다. 위에 보이는 KFC는 입체형 벽면이용간판 입니다.
함께 읽어볼 만한 글
마치며
간판용어 시리즈 – 벽면이용간판은 간판을 전혀 모르는 간판 소비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읽어보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간판을 설치하려고 검토 중인 분들, 또는 간판 인허가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참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좋은 글로 만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